명산 산행/지리산

지리산 도장골-시루봉-청학연못 (12-06-24)

맹돌이2 2012. 6. 25. 14:36

 

지리산 도장골 - 와룡폭포 - 시루봉 - 청학연못 - 거림옛길 - 거림골

 

 

지리산 청학동(靑鶴)

 

 

청학(靑鶴)은 날개가 여덟이고 다리가 하나이며 얼굴이 사람같이 생겼다는

상상의 길조이다. 이 새가 울면 천하가 태평해 진다고 하여 옛날부터 사람들은
청학이 사는 청학동을 신선이 살고 있는 이상향이라고 믿어 왔다.

 

불교에서의 피안, 아메리카의 엘도라도, 모어의 유토피아, 제임스힐턴의 샹그리라,

도연명의 무릉도원 등 어느곳이든 인간은 이상향을 꿈꾸며 살고 있다.

 

우리나라 삼남지역 사람들은 장대하게 솟은 지리산을 우러러 보며,

지리산 어딘가에 청학동이 있을 것이라 믿어 왔다.

함경도에서는 오복동, 제주도에서는 이어도, 울릉도에서는 가삼도와 같은

이상세계를 꿈꾸어 온 것이다.

 

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고서들에 의하면 

청학동은 지리산 남쪽에 있는데, 진주 서쪽 147리 되는 곳이라 적혀 있다.

운산봉과 남해바다가 보이고, 둘레가 40리나 되는 평탄한 곳이다.

머리가 매우 좁아 겨우 사람이 통행할 만 하고, 엎드려서 수리를 지나면

넓게 트인 곳이 나오는데 사방이 옥토라 곡식을 가꾸기에 알맞는 곳이다.

청학이 오직 그곳에 살기 때문에 청학동이라 부른다 한다. 

제비집 이나 호리병 모양으로 중앙부근은 큰 북과 같고,

물은 서출 동류 하고, 용지라는 못이 못으며, 십리 밖에 내외 석문이 있다.

농사를 지으면 천여석이 소출되어 천여호가 살 수 있다고 한다.

 

지리산에는 청학동으로 추정되는 곳으로

세석고원, 덕평고원, 청암 학동, 불일폭포, 피아골, 악양 청학이골, 고운동, 새밭고원

등이 있는데, 이를 8청학이라 부르고 있다.

 

지리주능선의 촛대봉(1703m) 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시루봉(1575m) 으로 내려가면
약 1600m 고지의 넓은 평원 서쪽 아래쪽에 청학연못이 위치해 있다.

청학연못의 길이는 12~18m, 넓이는 7~8m쯤 되는 타원형의 연못 이다.

연못 북사면의 대슬랩에 몇개의 파자가 새겨져 있는데, 그 뜻을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했다.

 

인구에 회자되는 얘기에 의하면 청학연못에서 심심찮게 용요름 현상이 일기도 하고,

이 곳을 다녀간 사람이 50m쯤 가다가 되돌아 보면 연못이 사라지기도 하고,

다시 찾아가면 진짜로 헤메다가 허탕친 경우가 많다고 한다.

 

지리산에 위치해 있다는 전설적인 유토피아인 청학동 들머리 라고도 알려진

청학연못이 보고시퍼 2008년 가을에 이어 약 4년만에 다시 찾아 갔다. 

 

▶ 초여름(2012. 6. 24)의 청학연못...

 

 

 

 

▶ 늦은 가을(2008. 11. 9)의 청학연못...

 

 

 

 

 

지리산 도장골

 

지리산 도장골은 세석평전의 동쪽에 위치한 촛대봉(1703m) 남릉 방향으로

흰돌골, 시루봉골(작은 도장골), 촛대봉골 등 지류들이 이룬 골짜기 인데

와룡폭포, 윗용소, 아래용소, 밀금폭포를 지나 거림계곡에 합류된다.

 

거림마을에서 도장골 - 촛대봉 코스가 산꾼들에게 알려진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라 한다.

진주 시천면 내대리 거림마을 사람들이 나물과 약초를 뜯기위해 다녔던 길이고,

지리산 빨치산이 환자후송병원인 환자비트로 이용할 만큼 꽁꽁 숨어 있던 계곡 이다.

흰돌골이 합류되는 아래쪽의 도장골 골짜기에 빨지산 이영희 부대 아지트가 위치해 있다.

 

도장골은 지리산 최다폭포인 한신계곡, 소와 담의 뱀사골계곡, 원시적 경관을 자랑하는

칠선계곡의 특징을 합쳐 놓은 것 같다고 할 정도로 비경의 골짜기로 남아 있다.

 

작은 도장골 입구를 지나면 와룡폭포가 위치해 있는데, 자연적인 폭포라기 보다는

마치 누군가 일부러 다듬어 놓은 듯 정교한 모습이다.

 

와룡폭포 위로 암반을 타고 오르면 도장골 상류와 촛대봉골이 갈라지는 합수점에 이른다.

촛대봉골은 아기자기한 암반과 여러개의 소폭들이 비경을 이룬 곳인데,

와룡폭포 30m 아래쪽에서 좌측으로 등로를 찾아 약 30분쯤 올라가면 촛대봉에서 내려오는 

두개의 골짜기가 이룬 계곡 합수점을 만나는데, 이 곳에서 좌측으로 촛대봉 남릉으로

희미한 등로를 따라 올라가면 시루봉(1575m) - 청학연못으로 이어진다.

 

▶ 도장골 와룡폭포...

 

 

 

 

▶ 도장골 이영희부대 아지트...

 

 

6월의 넷째 일욜(6/24) 새벽 3시 40분 진주 시천면 내대리의 거림지킴터를 출발해서
길상암 - 용소 - 와룡폭포로 이어진 도장골 계곡과 촛대봉 남릉을 따라 올라가서

시루봉(1575m) - 청학연못의 비경을 구경한후
세석평전 아래 거림계곡 하산코스로 내려와 음양수 상골 - 거림옛길 - 거림골을 따라

거림지킴터까지 8시간 55분 동안 원점산행 했다.

◆ 산행 코스 및 시간

 

거림지킴터  -> 도장골 계곡반석  -> 와룡폭포         -> 계곡합수점    -> 시루봉(1575m)
                 1:05:38(17ㅣ17휴식)  1:19:23(33:23휴식)  25:07(8:59휴식)  38:44 (1:14:57식사)
                                                2:13:58                  3:12:29              4:00:13

  -> 청학연못          -> 거림코스03-10지점   -> 거림골 북해도교   -> 거림지킴터
  23:29 (24:35휴식)   36:21                           1:23:24                    52:47
  5:38:49                  6:39:47                        8:03:11                    8:55:58

 

◆ 산행 지도

 

 

 

 

 

◆ 산행 사진

 

1) 새벽 3시 40분 진주 시천면 내대리 거림마을 출발...

 

 

 

2) 거림마을에서 세석대피소로 가다가 길상암으로 진입... 

 

 

 

3) 여명이 트이면서 그 모습을 드러낸 도장골 윗용소...

 

 

 

4) 도장골의 작은 폭포들...

 

 

 

 

 

5) 와룡폭포...

 

 

 

 

 

 

 

 

 

 

6) 시루봉으로 올라가던 도중에 바라본 도장골(위).. 거림계곡(아래)...

    아래 사진의 우측능선이 영신봉에서 분기해서 삼신봉으로 이어진 낙남정맥 능선(남부능선)인데,

    끝부분에 외삼신봉-삼신봉-내삼신봉이 보인다.

 

 

 

7) 촛대봉에서 분기해서 시루봉을 거쳐 거림계곡으로 이어진 촛대봉 남릉...

 

 

8) 삼신봉과 연하봉 능선 사이로 이어진 도장골 상류...

    멀리 운무속에 보이는 봉우리가 천왕봉이다.

 

 

9) 시루봉 정상(1575m)... 

 

 

 

 

10) 시루봉에서 바라본 연하봉 - 천왕봉(위)...

 

 

 

 

11) 시루봉에서 바라본 촛대봉-영신봉...

 

 

12) 촛대봉(1704m)(위).. 영신봉(1652m)(아래)을 클로즈업...

 

 

 

13) 시루봉에서 촛대봉 남릉을 따라 촛대봉으로 가는 길...

 

 

 

14) 촛대봉(위)-영신봉(아래) 사이에 세석평전이 위치해 있다.

 

 

 

15) 촛대봉 남릉의 갈라진 바위가 청학연못 진입지점이다.

 

 

 

16) 청학연못(1) : 서쪽에서 바라본 모습...

 

 

 

17) 청학연못(2) :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18) 청학연못(3) : 북동쪽 대슬랩에서 바라본 모습...

 

 

 

 

 

 

19) 청학연못(4) : 대슬랩...

 

 

 

20) 청학연못에서 거림코스 03-10지점으로 탈출...

 

 

21) 거림옛길이 시작되는 세석교...

      세석교를 건너기 직전에 우측 골짜기로 진입해서 희미한 등로인 거림옛길로 갈 수 있다.

 

 

 

22) 거림옛길의 음양수 상골...

 

 

 

 

23) 거림옛길에 유일하게 새겨진 표지판...

 

 

24) 거림옛길이 끝나는 북해도교...

      시루봉 정상 남쪽의 바위틈 사이에서 비등코스로 계곡을 따라 내려오면 북해도교 이다.

 

 

25) 거림마을에서 세석대피소 까지 6.0 km 이다. 

 

 

 

26) 진주 시천면 내대리 거림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