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산 산행/영남 87

통영 연화도 트레킹 + 수국꽃축제 (25-06-29)

통영 연화도(蓮花島) 연화도(蓮花島)는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연화리에 속한 섬으로 통영에서 남서쪽으로 14㎞ 지점에 있고, 욕지도 동쪽에 위치한다. 연화도는 한자를 풀이하면 연꽃 연(蓮)에 꽃 화(花), 말 그대로 연꽃섬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실제로 북쪽 바다에서 바라보는 연화도의 모습은 꽃잎이 하나하나 겹겹이 봉오리 진 연꽃을 떠올리게 한다. 연화도는 최고점을 이루는 연화봉(蓮花峰, 212m)이 솟아 있고, 동쪽 해안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였다. 연화포구를 둘러싼 사방이 기암절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용이 대양을 향해 헤엄쳐 나가는 모습의 용머리 바위가 있다. 통영8경 중 하나인 연화도 용머리는 일몰 직전 찾으면 지는 해의 빛을 받아 황금으로 물드는 바위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낙가산 아래에 자리한 연..

문경 봉암사 순례 (25-05-05)

문경 봉암사(鳳巖寺) 봉암사(鳳巖寺)는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희양산(曦陽山)에 있는 사찰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末寺) 이다.통일신라의 헌강왕(憲康王) 5년(879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지증대사는 심층거사가 희사한 희양산 일대에 사찰을 짓고 선풍을 널리 펴 희양산문을 열었다. 동왕 7년(881년)에 봉암(鳳巖) 이라는 절의 이름이 내렸다. 봉암사는 후삼국을 거치며 폐허 상태가 되었으나, 고려 태조 18년(935년) 정진대사가 중창하였고, 조선시대에도 소실 및 쇠퇴와 중건을 거듭하였고, 1915년에 퇴락한 당우를 다시 중건하였다.1982년에 특별수도원으로 지정되어 4월 초파일 단 하루에만 개방하며, 그 외의 기간에는 승려들의 선승도량으로써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트레킹 (24-05-11)

국립백두대간수목원 (國立白頭大幹樹木園)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산림청 주관으로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 조성된 수목원이다. 총면적은 5,179ha로, 2015년 12월에 공사를 완료하였다. □ 위치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 주요 시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종자저장시설, 연구시설, 기후변화지표식물원, 전시공간 등 시설이 설치된다. 수목원 전체 부지는 크게 생태탐방지구와 중점조성지구로 구분하여 조성된다. ○ 생태탐방지구 생태탐방지구는 금강소나무를 대표 수종으로 하는 자연 생태를 그대로 보존하여 자연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생태탐방지구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550년 된 철쭉군락지와 꼬리진달래군락지가 있다. ○ 중점조성지구 중점조성지구는 진입 및 커뮤니티지구, 주제정원 전시 ..

영남 알프스 8봉 인증(4) : 재약산-천황산 (23-11-11)

영남 알프스 8봉 인증(4) : 재약산-천황산 (23-11-11) ■ 밀양/울주 재약산(載藥山 1119m) 재약산(載藥山)은 경상남도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1,119.1m의 산으로 영남 알프스의 일부이다. 인근 천황산과 함께 재약산으로 통칭되며, 천황산은 재약산 사자봉으로 재약산은 재약산 수미봉으로 부르기도 한다. 재약산(載藥山)은 재악산(載嶽山)이라고도 하는데, 주봉은 수미봉 (1,119m) 이고,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산 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재약산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의 말사인 표충사는 신라 무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죽림사(竹林寺)라 했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흥덕왕의 아들이 나병에 걸려 전국의 유명한 약수를 찾아다니다 죽림사에..

영남 알프스 8봉 인증(3) : 가지산-운문산 (23-05-07)

영남 알프스 8봉 인증(3) : 가지산-운문산 (23-05-07) ■ 울산/밀양/청도 가지산(加智山 1241m) 가지산(加智山 1,241m)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과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및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240.9m 이다. 원래 석남산(石南山) 이었으나, 1674년에 석남사(石南寺)가 중건되면서 가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가지산에서 크게 세 방향으로 능선이 뻗어 있다. 그 가운데 문복산(1013m)을 연결하는 북동 능선과 운문산(1188m)을 잇는 서쪽 능선은 경상남북도의 도계를 이루고, 능동산(982m)·천황산(1189m)으로 이어지는 남서 능선은 밀양시와 울산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일대는 경상남도 북동부의 산악 지대로 1,000m 내외의 험준한 ..

영남 알프스 8봉 인증(2) : 간월산-신불산-영축산 (23-04-02)

영남 알프스 8봉 인증(2) : 간월산-신불산-영축산 (23-04-02) ■ 울산 간월산(肝月山 1083m)간월산(肝月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에 있는 1,083m의 산 이다.간월산(肝月山)의 유래는 이 산기슭에 간월사라는 사찰이 있어서산 이름도 간월산이라 하였다 한다. 1861년(철종 12)에 간행된 김정호(金正浩)의『대동여지도』에는 간월산이 ‘看月山(간월산)’으로 표기되어 있으나,등억리의 사찰 이름은 ‘澗月寺(간월사)’로 표기되는 등 간월산의 표기가 다양한 것으로 추정된다.간월산 주위에는 1,000m 내외의 가지산(加智山 1,240m)·고헌산(高獻山 1,033m)·운문산(雲門山1,188m)·백운산(白雲山 885m)·능동산(陵洞山 982m)·천황산(天皇山 1,189m)·신불산(神佛山 1,159m..

영남 알프스 8봉 인증(1) : 울산 고헌산(23-03-05)

영남 알프스 영남 알프스는 울산, 밀양, 양산, 청도, 경주의 접경지에 형성된 가지산을 중심으로 해발 1,000m 이상의 8개의 산이 수려한 산세와 풍광을 자랑하며 유럽의 알프스와 견줄만 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영남 알프스에는 가지산(1,241m), 간월산(1,069m), 신불산(1,159m), 영축산(1,081m), 천황산(1,189m), 재약산(1,108m), 고헌산(1,033m), 운문산(1,188m) 등 8개의 산이 있으며, 문복산(1,015m)을 포함하기도 한다. 신불산, 가지산, 재약산은 산림청 및 블랙야크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에 속하며, 운문산은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에 속한다. 위키백과 2023년 1월 8일 울산시 울주군이 영남알프스 완등 인증사업 대상에서 문복산을 제외하고, ..

달성 도동서원(道東書院) 탐방 (22-11-13)

달성 도동서원(道東書院) 탐방 (22-11-13) ■ 달성 도동서원(道東書院)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있는 조선후기 김굉필(金宏弼)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문화재 지정 : 사적 제488호 건립시기 : 1605년(선조 38)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 (구지면 도동리 35) 달성 도동서원(道東書院) 은~? 1605년(선조 38) 지방 유림의 공의(公議)로 김굉필(金宏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07년 ‘道東(도동)’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678년(숙종 4) 정구(鄭逑)를 추가 배향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 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1964년 전면 보수하였으며, 경내의 건물로는 사당(祠堂)·중정당(中正堂..

안동 임천서원(臨川書院) 탐방 (22-10-10)

안동 임천서원(臨川書院) 탐방 (22-10-10) 경북 안동시에 있는 조선후기 김성일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문화재 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호 건립시기 : 1607년(선조 40)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 740 안동 임천서원(臨川書院)은 조선 선조 때 문신이며 학자인 학봉 김성일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김성일(1538∼1593)은 퇴계 선생 이황의 제자로 임진왜란 당시 높은 공을 세우고 진주공관에서 순직한 사람이다. 조선 선조 40년(1607)에 지었으며, 광해군 10년(1618) 나라에서 현판을 내려 사액서원이 되었다. 그 뒤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08년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숭정사(崇正祠), 15칸의 홍교당(弘敎堂),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