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백두대간수목원 (國立白頭大幹樹木園)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산림청 주관으로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 조성된 수목원이다.
총면적은 5,179ha로, 2015년 12월에 공사를 완료하였다.
□ 위치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 주요 시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종자저장시설, 연구시설, 기후변화지표식물원, 전시공간 등
시설이 설치된다.
수목원 전체 부지는 크게 생태탐방지구와 중점조성지구로 구분하여 조성된다.
○ 생태탐방지구
생태탐방지구는 금강소나무를 대표 수종으로 하는
자연 생태를 그대로 보존하여 자연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생태탐방지구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550년 된 철쭉군락지와 꼬리진달래군락지가 있다.
○ 중점조성지구
중점조성지구는 진입 및 커뮤니티지구, 주제정원 전시 및 교육지구,
산림생물자원 연구지구, 산림보존 및 복원지구로 구분되어 있어
연구, 교육, 체험이 함께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조성된다.
측백나무를 이용한 미로원, 교과서원, 모험의 숲 등으로
아이들의 식물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세계문화자원식물원 등으로
세계의 민속생활문화를 익힐 수 있으며,
오색정원, 꽃나무원 등의 전시원에서는 식물의 아름다운 조화를 느낄수 있도록 조성된다.
○ 호랑이숲
백두대간수목원의 또 하나의 특징인 호랑이숲에는
백두대간의 상징적 동물인 호랑이가 서식하는 숲을 재현하여 시베리아호랑이를 전시하고 있다.
2017년 1월 25일 한중우호협력사업으로 도입된 백두산 호랑이 2마리를 이전하였고,
2018년 5월 4일에 개장했다. 현재 에버랜드에서 유학을 온 태범, 무궁이를 포함하여
6마리(한청, 우리, 한, 도, 태범, 무궁)가 살고 있다.
또한 버드나무, 금강송, 서양측백, 소영도리나무 등을 심었다.
○ 종자영구보존시설
종자영구보존시설(Seed Vault)은 아시아권에 최초로 들어서는 시설로
지하 40m 터널형 구조이며, 항온항습 환경에서 200만점 종자영구보존이 가능하다.
□ 방문안내
• 운영일: 화요일~일요일
• 휴원일: 월요일, 1월1일, 설, 추석 연휴
• 하절기(3월~10월) 관람시간: 09:00~18:00
• 동절기(11월~2월) 관람시간: 09:00~17:00
• 이용요금: 성인 5,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3,000원
<출처> 워키백과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트레킹 (24-05-11)
● 트레킹 일시 : 2024. 05. 11.(토) 13:00 ~ 14:47
● 참석자 : 셰르파, 하루하루, 종과니성, 형모성, 맹돌이 등 대전 금마클럽 회원 22명
● 트레킹 코스 : 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 무지개정원 → 호랑이숲 → 만병초원 →
알파인하우스 → 잔디언덕 → 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
춘양4주차장 원점회귀
☞ 출발/도착: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485 방문자센터
☏ 갈때/올때: 대전 금마클럽 32인승 버스 이용
● 도상 거리 : 트랭글 5.48 km / 오룩스 5.33 km
● 소요 시간 : 1시간 47분
☆ 봉화 백두대간수목원 수목원가든 에서 한정식뷔페 점심식사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267-4 전화 054-674-0334)
● 특이사항
-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는 총 5곳의 인증지가 있는데, 인증지당 1,000 BAC코인이 지급되고, 만병초 실물뱃지 증정된다.
● 백두대간수목원 트레킹 사진








































● 봉화 수목원가든 점심식사 사진





● 백두대간수목원 트랙 지도




'명산 산행 > 영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해운대 (24-05-31 ~06-01) (0) | 2024.06.01 |
---|---|
영남 알프스 8봉 인증(4) : 재약산-천황산 (23-11-11) (0) | 2023.11.11 |
영남 알프스 8봉 인증(3) : 가지산-운문산 (23-05-07) (1) | 2023.05.07 |
영남 알프스 8봉 인증(2) : 간월산-신불산-영축산 (23-04-02) (0) | 2023.04.03 |
영남 알프스 8봉 인증(1) : 울산 고헌산(23-03-05)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