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산 산행/지리산

지리산 한신지계곡-천왕봉 (11-08-14)

맹돌이2 2011. 8. 15. 16:22

지리산 백무동 - 한신지계곡 - 장터목 - 천왕봉 - 장터목 - 소지봉 - 백무동 

 

 

대마클에서 매년 8월 15일경에 연례행사처럼 9년째 성삼재에서 천왕봉 까지의 지리주릉을

무박 종주산행을 해왔는데, 올해는 참가인원이 적어서 한신지계곡-장터목-천왕봉 코스로 대체했다.

 

일욜(8/14) 오전 9시 30분 함양 마천면 상백무동을 출발해서 한신계곡을 워킹한후

가네소폭포에서 제석봉과 연하봉 사이의 골짜기인 한신지계곡으로 진입했다. 

 

팔팔폭포, 천령폭포, 내림폭포, 함양폭포를 비롯해서 수많은 폭포들이 모여 있어

마치 폭포 전시장에 온 느낌이었고, 장마철 이후 수량이 풍부해서 더욱 멋찐 모습이었다.

합수점에서 좌골로 접어 들어 장군대에서 잠깐 휴식한후

장터목대피소에서 천왕봉을 찍고 소지봉-참샘을 거쳐 백무동으로 하산 했다.

 

◆ 산행코스 및 시간

 

    백무동주차장 -> 가네소폭포   -> 팔팔폭포 -> 천령폭포        -> 내림폭포  -> 장군대

                       3.0 km              0.7 km         0.6 km                0.7 km         1.0 km

                       56:37               43:25           44:54(9:40휴식)   47:26          31:54 (40:31식사)

 

   -> 장터목대피소  -> 천왕봉           -> 장터목대피소  -> 소지봉  -> 백무동주차장

   2.0 km                1.7 km               1.7 km                2.8 km        3.3 km      <계> 17.5 km

   50:31(6:52휴식)   34:24(20:17휴식) 44:17                 50:57         46:57        <계>  8:49:01

 

◆ 한신지계곡 지도

 

 

 

 

 

◆ 백무동 -> 한신계곡 가내소폭포 구간 사진

 

1) 백무동 탐방지원센터...

 

 

 

2) 태풍 "무이파"로 인해 교량과 등로가 유실된 탓에 백무동-세석대피소 구간은 입산통제중 인데,

    첫나들이 폭포 까지 입산이 가능하단다.

 

 

 

3) 첫나들이 폭포...

 

 

 

 

4) 첫나들이 폭포 위쪽 다리 이후구간에 교량과 다리가 유실되어 입산통제중 이다.

 

 

5) 한신계곡에서...

 

 

 

 

6) 태풍으로 인해 교량과 등로가 유실된 구간...

 

 

 

 

 

7) 가네소폭포 부근이 한신계곡과 한신지계곡 합수점이다.

 

 

8) 가네소폭포 다리를 지나 철계단 방향이 세석대피소로 가는 탐방로 이다.

 

 

◆ 한신지계곡(1) : 가내소폭포 -> 좌.우골 합수점 구간 사진  

 

9) 가네소폭포 다리를 건너 한신지계곡으로 진입 했다.

 

 

 

10) 초입은 그저 평범한 계곡에 불과 했지만...

 

 

11) 철계단 이후 구간부터 여러 형태의 폭포들이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12) 구선폭포...

 

 

13) 팔팔폭포...

 

 

 

 

 

 

14) 다시 작은 폭포들이 이어지더니...

 

 

 

 

 

 

 

15) 협곡 처럼 생긴 바위틈으로 폭포수가 쏟아져 내린다.

 

 

 

16) 천령폭포...

 

 

 

 

 

 

 

 

 

17) 폭포수에 알탕을 하면서...

 

 

18) 또다시 직폭과 와폭이 번갈아 가면서 멋찐 모습을 보여 준다.

 

 

 

 

 

19) 합수점에서 연하봉 방향의 우골(위)로 잘못 진입한 걸 알고서, 장터목대피소 방향의 좌골(아래)로 진입 했다

 

 

 

 

 

◆ 한신지계곡(2) : 내림폭포 -> 장군대 구간 사진

 

20) 합수점에서 좌골로 진입한 직후의 내림폭포...

 

 

 

 

 

20) 함양폭포와 장군대가 위치한 곳에서 좌측으로 우회했다.

 

 

 

21) 장군바위라 표기된 장군대...

 

 

 

 

 

 

22) 장군대에서 바라본 한신지계곡...

 

 

 

 

 

23) 고산지대의 원시숲을 지나...

 

 

24) 장터목대피소 아래쪽의 탐방로에 살짝 복귀 했다.

  

 

 

◆ 장터목대피소 <-> 천왕봉 구간 사진

 

25) 장터목대피소... 

      이 곳에서 천왕봉 까지 1.7km 거리이다.

 

 

 

 

 

26) 제석봉으로 가는 고사목 구간의 등로...

 

 

 

 

27) 제석봉(1808m)...

 

 

28) 제석봉에서 바라본 운무속의 천왕봉...

 

 

29) 제석봉에서 통천문으로 가는 등로...

 

 

 

 

 

 

 

30) 통천문(1814m)...

 

 

 

 

 

31) 통천문 위에서 바라본 제석봉...

 

 

 

 

32) 통천문 위에서 바라본 칠선계곡...

 

 

33) 천왕봉으로 올라가던 도중에 바라본 제석봉...

 

 

34) 천왕봉 직전의 칠선계곡 들머리...

 

 

 

 

35) 천왕봉 직전의 절경...

 

 

 

 

36) 천왕봉 정상부...

 

 

 

37) "한국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 라고 새겨진 천왕봉 정상(1915m)...

 

 

 

 

 

 

 

38) 천왕봉 정상 동쪽의 중산리-대원사 갈림길...

 

 

39) 천왕봉 정상 서쪽의 쉼터...

 

 

 

40) 천왕봉에서 바라본 중봉(1875m)-하봉(1746m)...

      남쪽에서 넘어온 운무가 반쪽을 가려서 20여분을 지켜 보았지만 제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41) 천왕봉 남서쪽 아래의 통신골-거림계곡...

 

42) 제석봉 전망대에서 천왕봉 정상 모습을 찍으려 10여분을 기다렸지만 아쉽게도 정상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43) 장터목대피소로 가던 도중에 바라본 연하봉(1750m)...

 

 

◆ 장터목대피소 -> 백무동 구간 사진

 

44) 장터목대피소...

      이 곳에서 소지봉-참샘을 거쳐 백무동탐방지원센터 까지 5.8 km 이다.

 

 

 

45) 되돌아본 장터목대피소-연하봉...

 

 

46) 소지봉(1312m)..

 

 

47) 참샘...

 

 

 

48) 참샘에서 백무동으로 내려가는 등로...

 

 

 

49) 백무동 야영장...

 

 

 

50) 백무동 탐방지원센터로 8시간 49분만에 원점회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