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백두대간 2회<完>

백두 2-2구간[매요리-시리봉-복성이재] (09-03-07)

맹돌이2 2009. 8. 4. 12:23

백두대간 2차 : 2-2구간[매요리-시리봉-복성이재]


토욜(3/7) 오전 9시 28분 운봉읍 매요리를 출발해서

618봉 - 사치재 - 697봉 - 시리봉(776.8m) - 복성이재 까지의 백두대간 2-2구간을

3시간 19분만에 종주산행했다.


그동안 수십차례의 대간/정맥 산행 중에서 이번 구간이 가장 짧은 탓에

몸이 땀이 배기 시작할 무렵에 하산하니

어쩐지 허전해서 한번 더 산행하고 싶다.


◆ 산행 코스


  매요리 -> 618봉 -> 사치재 -> 697봉 -> 시리봉 -> 복성이재


◆ 산행 지도

  <백두-04 종주지도 참조>

 


◆ 산행 거리 및 시간

  매요리  -> 사치재       -> 시리봉              -> 복성이재
              2 km            3.2km (4:00휴식)    3.7km           <누계> 8.9 km
              42:15           1:08:05                 1:15:30         <누계> 3:19:40

◆ 산행사진

1) 산행들머리인 매요휴게소앞을 통과하는 대원들의 모습...
    폐교된 운성초교앞에 위치한 매효휴게소는
    대간종주자들이 라면을 끓여먹고 캔맥주를 마실수 있는 곳이다.



2) 매요교회 옆으로 통하는 도로가 대간 능선길이다.



3) 매요리 서쪽 방향의 황산(697.2m)...



    고려말 이성계가 피바위에서 왜장 아지발도를 활로쏘아 떨어뜨리고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는 곳인데... 그후 군부 수장으로 부상했다 한다.

4) 618봉을 지나면서 바라본 사치마을...



5) 사치재 부근의 대간 능선...
    소나무 우측 봉우리가 697봉... 멀리 뾰쪽한 봉우리가 시리봉(776.8m)이다.



   88고속국도가 통과하고 있는데 민가 두채 우측편이 대간능선길이다.
   예전엔 여원재가 남원 - 산청간 영호남을 잇는 길목이었는데
   지금은 88고속국도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6) 88고속국도 밑으로 연결된 지하통로...
    고속국도를 곧바로 넘기엔 위험해서 지하통로를 이용해야 안전하다.



7) 유치삼거리와 복성이재를 잇는 사치재(500m)...



8) 697을 오르면서 되돌아본 사치재-618봉-매요리 방향의 대간 능선...
    멀리 보이는 산이 덕두산-바래봉 이다.



9) 697봉 - 시리봉 방향의 대간 능선...
   1994년에 큰 산불이 나서 허허벌판이 된 곳인데 아직도 나무가 어리다.



10) 697봉 조망바위에서 되돌아본 사치재 방향의 대간 능선...



11) 시리봉을 지난후 바라본 복성이재...



12) 시리봉을 지난후 바라본 2-3구간의 봉화산...



13) 흥부발복지로 알려진 아영면 성리 모습...



   인월면의 상산마을은 흥부-놀부 형제가 살던 곳이고,
   아영면 성리마을은 쫒겨난 흥부가 들어가서 부자가 된 마을이다.
   성리마을엔 흥부와 관련된 고유지명이 여럿 있다는데...
   제비가 하늘은 나는 형상의 연산등...
   놀부가 화초장을 지고가다 쉬었다는 화초장바위거리...
   놀부가 지고 가던 화초장 이름을 잊어버리고 오래 생각했다는 장구목...
   흥부가 배고파서 쓰러졌다는 허기재... 등등

14) 아막성터에서 흥부발복지인 성리를 배경으로...



14) 백제-신라의 격전지였던 아막성터....





  백제에서는 아막성... 신라에서는 모산성이라 불리던 곳인데
  운봉고원을 두고 양국간에 치열한 전쟁이 있었다 한다.

15) 아막성터 조망바위에서 선두대원들과 함께...



16) 산행 날머리인 복성이재(550m)...
      이 도로를 따라 내려가면 성리마을인데 흥부소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백두-04(여원재~복성이재).jpg
0.7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