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8-2구간[갈령3거리-봉황산-화령재] (10-01-02)
백두대간 21차: 8-2구간[갈령3거리-봉황산-화령재]
토욜(1/2) 오전 8시 2분 갈령을 출발해서 갈령삼거리 - 못재 - 비재 - 봉황산(740.8m) -
화령재까지의 도상거리 12.9km인 백두대간 8-2구간을 5시간 7분동안 산행했다.
산행들머리인 갈령(443m)은 상주 화북을 통과하는 49번 국도상에 위치해 있는데,
십승지의 하나인 우복동천의 남쪽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이다
우복동천은 서쪽뱡향의 속리산 문장대 - 천황봉 - 형제봉으로 이어진 능선과
동쪽방향의 청화산 - 도장산 - 두리봉으로 이어진 능선으로 둘러쌓인 형상인지라
정감록에서 십승지로 거명한 듯 하다.
갈령3거리에서 암봉을 우회해서 내려가면 충북알프스가 분기하는 곳이 못재(810m)이다.
못재는 백두대간 마루금에 위치한 유일한 못인데, 그 넓이가 약 500평쯤 되어 보인다.
못재에는 후백제 견훤에 관한 얘기가 전해 내려 온다.
상주 대궐터에서 군사를 일으킨 견훤이 날로 주변 지방을 장악해 나가면서 백두대간을 경계로
서로 대치중인 보은 호족인 황충장군과의 전투에서도 연승을 거듭했다.
이에 황충장군이 부하를 시켜 견훤의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아보게 하였는데,
견훤이 못재에서 목욕을 하면 힘이 강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내고는 못제에 소금을 뿌려 힘을
약하게 한후에 전투에서 승리를 할 수 있었다 한다.
천년전엔 못재에 수량이 꽤나 있을 법한 얘기인데, 요즘은 우기에만 물이 약간 고여 있을 뿐,
겨울철엔 이 곳이 못이란 걸 알아 차리기도 쉽지 않다.
못재 조망처에서 대간 능선을 바라보면서 봉황의 머리 형상이라는 봉황산이
대간 능선 우측에 위치한 뾰족한 산일꺼라 추측 했다.
그런데 개념도를 살펴보니 좌측편의 완만한 산이 봉황산 이었다.
아마 상주쪽에서 바라봐야 봉황의 머리 형상일 듯 하다.
못재에서 비재까지는 거의 내리막 코스이다.
비재는 새가 날아가는 형국이라 조비령이라 불리던 고개라던데,
이 곳에서 봉황산(740.8m) 까지 약간 가파르게 능선을 올라갔다.
봉황산에 올라 후백제 견훤이 군사를 일으켰다는 대궐터산을 바라봤다.
불감시초소를 지나 화령재로 내려가던 도중에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이내 온세상이 하얀 설국으로 변하니 내 맘도 덩달아 하얗게 변한 듯 하다.
[산행 지도]
백두-13 참조
[산행 코스/시간]
갈령 -> 갈령3거리 -> 비재 -> 459봉 -> 봉황산(740.8m) -> 화령재
1.3 km 3.6 km 0.4 km 3.0 km 4.6 km <계> 12.9 km
36:10 1:26:58 20:58(15:51식사) 1:10:55(7:25휴식) 1:10:46 <계> 5:07:56
[산행 사진]
1) 산행들머리인 갈령...
십승지인 우복동천이라 불리우는 상주 화북면의 남쪽 관문이다.
2) 조망바위에서 바라본 우복동천...
뒤쪽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산이 청화산(984m), 우측이 도장산(828m)... 좌측이 속리산 동릉인 사모봉이다.
3) 조망바위에서 속리산 천황봉을 클로즈업...
천황봉에서 형제봉으로 갈지자 형으로 대간 능선이 이어져 있다.
4) 조망바위에서 바라본 속리산 형제봉...
좌측 끝부분이 갈령3거리이다.
5) 형제봉을 배경으로 종주 대원들과 함께...
6) 갈령3거리 안내표시판...
갈령에서 1.3km, 비재까지 3.6km이다.
7) 위험구간인 암봉에서 바라본 두리산(877m)...
이곳에서 갈령으로 내려온 능선 줄기가 우복동천 환종주 남쪽 방향이다.
8) 암봉에서 바라본 못재-봉황산...
앞쪽 봉우리인 못재에서 충북알프스가 분기하고, 뒤쪽 좌측으로 보이는 산이 봉황산이다.
9) 후백제 견훤의 전설이 어린 못재...
이 곳에서 충북 알프스가 분기된다.
10) 못재 하산길에 바라본 봉황산 방향의 대간 능선...
가운데 뾰쪽한 산이 봉황산일꺼라 추측하고 사진을 찍었는데, 개념도를 살펴보니 좌측 끝부분이 봉황산 이었다.
11) 새가 날아가는 형상이라는 비재...
12) 봉황산 가기직전 조망바위에서 되돌아본 비재-형제봉 방향의 대간 능선...
13) 봉황산(740.8m)
1300여년전 봉황새가 날아들어 30여년을 살았다는 전설이 있는 산인데,
정상 모습이 봉황이 머리를 빼어 올리고 양날개를 펼친 형상 이란다.
14) 봉황산에서...
15) 봉황산에서 바라본 대궐터산...
16) 봉황산에서 바라본 화령재 방향의 대간 능선...
17) 산불감시초소에서 바라본 화령재 방향의 대간 능선...
18) 산행날머리인 화령재...
청주보은-상주를 잇는 25번 국도와 화북 방향의 49번 도로가 교차하는 곳이다.